[단독] ‘수도권 쏠림’ 데이터센터 지방 분산 추진한다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경제백과
- 댓글
- 0건
- 조회
- 271회
- 작성일
- 23-06-15 09:19
본문
정부가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해법 찾기에 돌입했다.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한층 중요해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뼈대’로 불린다.
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 필요성은 지난해 10월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고로 카카오톡 먹통 사태가 발생하면서 제기됐다. 수도권 위주로 데이터센터가 지어지면서 전력 수요까지 집중돼 전력계통 부담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메타버스와 인공지능(AI) 등의 차세대 정보통신(IT) 서비스 확산에 대비해 전국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하는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데이터센터를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이다.
15일 IT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비수도권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용역을 수행한다고 지난달 말에 공고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21일까지 수행 연구기관을 모집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가 데이터센터 분산화를 위한 연구용역에 들어간 배경에는 데이터센터 수요의 폭증이 있다. 메타버스, AI 등 첨단 IT 서비스 활성화로 인해 데이터 트래픽이 크게 늘었다.
하지만 이를 감당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는 부족하다. 데이터센터를 전국 곳곳에 설립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데이터센터를 국가 기간산업 수준으로 성장시켜 미래 먹거리로 삼겠다는 포석이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기업이 성장하고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프라 시설 확보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 밀집돼 있다 보니 안정성이 떨어진다. 지난해 6월 기준으로 국내 데이터센터는 146곳에 이른다. 이 가운데 58.9%인 86곳이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쏠려 있다. 더 큰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화는 심해진다는 데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29년까지 전국에서 데이터센터 637곳이 추가로 늘어난다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86%가량인 550곳이 수도권에 밀집할 것으로 본다.
데이터센터 집중화는 수도권에서 심각한 전력난을 일으킬 수 있다. 146개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전력 용량은 1.74기가와트(GW) 수준이다. 70.1%에 이르는 1.22GW는 수도권 데이터센터에서 쓰고 있다. 오는 2029년에는 수도권 데이터센터가 전체 데이터센터 전력의 85.8%까지 사용할 것으로 추산된다.
데이터센터는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데다, 수도권으로의 송전 비용을 증가시킨다. 전력 공급을 위해 고압송배전 설비가 필요한데 수도권에는 이를 지을 공간도 부족하다. 수도권에서 재난이 발생하면 데이터 손실, 인터넷 지연 등 통신 인프라 마비로도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지난달 2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에 맞춰 정부는 분산법을 통해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지리적 집적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으로 데이터센터 입지 분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협업해 세제·투자 지원 및 보조금 지원 등 패키지로 데이터센터 입지 분산을 유도할 방침이다.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줄이기 위한 인센티브 법안도 마련 중이다. 각 지자체도 데이터센터 유치전에 돌입했다. 지역 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국토균형발전이라는 가치도 이뤄낼 수 있기 때문이다. 경남 창원시·함양군, 강원 춘천·원주시·홍천군, 전남 순천시·해남군 등이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IT업계에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한다. 데이터센터 고객사들이 수도권을 지향한다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데이터센터를 이용하는 기업은 긴급 상황시 자체 인력을 빠르게 투입해야 한다. 그런데 데이터센터가 지방에 있으면 그 지역에 상주하는 인력을 따로 뽑아야 한다. 또한 지방 인력을 운용할 여력이 있는 기업은 한정적이다. IT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를 지방으로 이전하면 고객사가 줄어들고, 고객사가 줄어들면 데이터센터의 수익성이 악화해 관리가 부실해지고, 관리 부실은 사고로 이어져 국민 불편으로 이어진다. 악순환에 빠지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부지 선정의 어려움도 있다. 데이터센터는 지역 혐오시설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고압송배전 설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반대여론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다. 전송 속도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주식 거래 등을 위해 초저지연 데이터 처리시간을 중시하는 금융권에서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센터의 물리적 거리를 가깝게 두려고 한다.
IT업계에서는 생태계 측면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지방에도 기업 생태계를 조성하면 데이터센터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표적 사례가 광주시다. 광주시는 2024년까지 국가 AI집적단지 조성 1단계 사업을 추진 중이다. 자동차, 헬스케어, 에너지와 AI 융합을 촉진하고 AI 개발 핵심자원인 데이터·기술·인력과 데이터센터·실증장비 등을 한 곳에 집약시킬 계획이다. AI 융합 생태계를 조성하기 시작하자 기업들도 광주시로 발길을 돌렸다. 이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데이터센터도 터를 잡았다. NHN클라우드는 세계 10위급 AI데이터센터를 광주시에 구축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기업 관계자는 “수도권에 데이터센터가 몰리게 된 원인을 살펴봐야 한다. 수도권에 이미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몰려있고, 비IT 기업들도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운 수도권의 데이터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기업 생태계가 잘 조성된 지방 지역이 있으면 데이터센터도 자연스럽게 수요를 따라 지방으로 옮길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센터 관련주는 데아타솔루션, 모아데이타 등이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